건축에서 착시는 고대에서부터 여러 민족에 의해서 적용되어 왔습니다. 그중 최고의 사례는 고대 이집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스의 도릭(Doric) 양식의 전신인 이집트의 베니핫산의 암굴분묘(B.C 1919)의 16각 석주의 주신에는 착시의 교정을 위하여 중앙부를 볼록하게 하였으며 오벨리스크에서도 사각탑이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탑의 중앙부에 미세한 배흘림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양건축과 한국 건축에서의 착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양 건축에서의 착시 1. 방향 착시 ; 가. 기단부(stylobate)의 수평선 착시 : 파르테논 신전 기단부(stylobate)가 이루는 선의 중앙 부분을 정면과 배면에서 60mm, 측면에서 110mm 위로 올라가게 의도하여서 기단부 중심을 바라봤..
"해체주의 건축 트렌드 구분". 이번 글에서는 "해체주의 건축 트렌드 구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해체주의 건축 트렌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체주의 건축 트렌드 분석 대상을 분류해야 합니다. 해체주의 건축 트렌드를 분석하는 대상으로는 ①디자인 개념에 따른 분석 ② 조합 방법에 따른 분석 ③ 형태 특성에 따른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해체주의 건축 트렌드의 분석 상세 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해체주의 건축 트렌드 분석 대상 디자인 개념 조합 방법 형태 특성상이함자기 모순적, 가식열린 건축형태 의미의 불확실성형태의 유희탈의미적 형태탈중심적 형태기능의 해체내부로부터의 해체건축개념의 해체Context의 해체프로그램의 해체양식의 해체수사학적 접근언어학적 접근단편화상호 텍스트성광기의 표현완벽..
"건축설계 프로세스". 이번 글에서는 설계방법론적인 측면에서 "건축설계 프로세스"에 대해서 상세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축설계에 있어서 설계 프로세스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건축설계를 진행하다 보면 , 사업계획의 변경, 건축주의 의사 변경 등 설계 프로세스 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곤 합니다. 또한 건축설계 프로세스에 대해서 각 나라마다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용어와 단어가 다르고, 프로세스를 인식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설계 프로세스 개념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상이하게 사용되고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과거에는 건축사업을 해외 설계사와 건축설계를 진행하게 될 경우 많은 혼선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에는 ..
"설계방법론(Design Methodology) 및 건축과정(Architectural Delivery Process)의 변화". 이번 글에서는 "설계방법론 및 건축과정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그 세부 순서로는 첫째, 건축설계방법론에 대해서 이론적인 고찰을 하고, 둘째 건축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 본다음 마지막으로 건축설계방법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건축설계방법론의 이론적 고찰 (Theory of Design Methodology) 서양에서는 건축이 하나의 학문 분야로 자리 잡았는지, 학문이면 어느 분류인지에 대해서 오랫동안 논의가 있었습니다.그 결과로 1960년대 초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설계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기 시작했습니다. 건축디자인 행위는 창작력(cr..